나이가 들면 다양한 이유로 영양섭취가 빈약해지고, 이러한 영양불량은 인지기능 저하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저는 노인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맞춤형 영양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9년에 국내 일부지역에 살고 있는 일반노인 127명(남55명, 여72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영양상태와 인지기능을 연구하였습니다.
영양상태는 한국영양학회에서 개발한 노인영양지수(NQ-E)와 24시간회상법을, 인지기능은 치매선별용 간이정신상태검사(MMSE-DS)와 주관적 기억감퇴검사(SMCQ)를 활용하여 평가하였습니다. 모든 자료는 SPSS 20.0을 활용하여 통계분석하였고, 노인영양지수(NQ-E) 기준점수에 따라 양호군(good group, GG)과 모니터링 필요(불량)군(poor group, PG)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습니다.
연구대상자들의 전체평균 연령은 76.7세이었고, 양호군(GG)이 불량군(PG)보다 유의적으로 월 식비지출액이 높았으며, 복용중인 영양보충제의 갯수도 유의적으로 많았습니다. 노인영양지수(NQ-E) 총 점수는 양호군(69.1점)이 불량군(53.6점)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조사 항목별로는 균형(58.6>38.6), 다양(56.8>45.2), 절제(87.2>74.4), 식행동(66.4>48.5) 영역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습니다. 특히 양호군(GG)에서는 과일, 채소, 콩류, 달걀을 더 자주 섭취했고, 라면, 가당음료는 더 절제를 했습니다. 또한 스스로 건강한 편이라고 생각하고 우울함을 덜 느끼며,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더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남자노인에서는 에너지, 비타민A, D, C와 리보플라빈, 니아신, 칼슘, 칼륨, 마그네슘을 한국인영양섭취기준(KDRI)보다 적게 섭취하고 있었고, 특히 비타민 D와 마그네슘은 50%도 안되는 섭취율을 나타냈으며, 니아신과 마그네슘은 양호군(GG)보다 불량군(PG)에서 유의적으로 더 적게 섭취하고 있었습니다.
여자노인에서도 마찬가지로 에너지, 비타민A, D, C와 니아신, 칼슘, 칼륨, 마그네슘을 한국인영양섭취기준(KDRI)보다 적게 섭취하고 있었고, 비타민 D와 마그네슘은 50%도 안되는 섭취율을 나타냈으며, 비타민C, 칼슘, 칼륨은 양호군(GG)보다 불량군(PG)에서 유의적으로 더 적게 섭취하고 있었습니다.
인지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평가한 MMSE-DS 총 점수는 양호군(26.4점)과 불량군(25.2점)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시간지남력(4.8점>4.5점), 장소지남력(5.0점>4.6점) 항목에서는 양호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습니다. 스스로 경험하고 느끼는 기억장애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된 SMCQ검사 결과는 6점 이상이면 주관적 기억감퇴가 심한 것을 의미하는데, 양호군(3.4점)과 불량군(5.0점) 모두 양호한 결과(점수)로 나타났으나 불량군의 점수가 양호군의 점수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대상자들의 영양상태(NQ-E)와 인지기능(MMSE-DS) 사이에는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MMSE -DS의 ‘장소지남력’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습니다. 또한 NQ-E 총점, 균형, 식행동 점수와 SMCQ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균형'과 '식행동' 영역에서 영양상태가 양호할수록 주관적 기억력 감퇴정도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습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연구대상자들의 절반정도가 모니터링이 필요한(불량한) 영양상태를 가지고 있었고, 양호한 영양상태 그룹에서도 비타민D, 칼슘, 마그네슘 등 일부영양소에서 낮은 섭취율을 나타냈습니다. 또한 인지기능은 양호군(GG)보다 불량군(PG)이 MMSE-DS의 일부항목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고, 주관적으로 느끼는 기억감퇴의 정도도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므로 일반노인들의 정신적 건강유지를 위해서는 충분한 영양소 섭취 및 체계적인 식생활 관리 등을 통한 영양상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출처> Chang KJ, BAE MA, Lee GE, Kim SH. Assessmen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in Korea: Cross-sectional Study. Alzheimer’s & dementia: the Journal of the Alzheimer’s Association 2020, 16(S7), e041641
'연구발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 노인들도 주기적인 "정신건강검진" 꼭 필요 <연구발표> (0) | 2021.07.11 |
---|---|
노인대상 영양교육, 지속적으로 필요합니다! <연구발표> (0) | 2021.06.29 |
타우린(Taurine)을 아시나요? (0) | 2021.05.30 |